google.com, pub-3360926256082384, DIRECT, f08c47fec0942fa0

병원체에 대한 식물의 방어

식물은 면역체는 없지만 환경 내에 항시 존재하는 균류, 세균, 바이러스 그리고 선충들에 의한 질병에 놀라울 정도로 저항력을 갖는다. 항미생물 제제 및 과민반응이라는 일종의 세포 죽음 유형을 포함하는, 감염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이 나타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다루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전신획득저항성이라는 특별한 종류의 식물 면역을 논하기로 한다.   1)일부 항미생물 화합물은 병원체의 공격 이전에 합성된다   몇 가지의 … Read more

세포벽 : 구조, 형성 그리고 신장

식물세포는 동물세포와는 달리 비교적 얇지만 기계적으로 강한 세포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세포벽은 세포에 의해 분비되고 공유결합과 비공유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유기적인 네트워크로 조립된 다당류 및 다른 중합체의 복합적인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식물세포벽은 또한 세포벽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변형시키는 수소단백질, 효소, 페놀성 중합체 그리고 다른 물질들을 가지고 있다.  원핵생물, 균류, 조류, 식물세포벽의 화학적 조성과 미세구조는 서로 … Read more

신호분자의 수송

광합성 산물의 장거리 수송에서 주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체관부는 식물체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신호분자를 수송하는 통로의 역할도 한다. 이런 장거리 신호는 공급부와 수용부 활성을 조정하고 실물 생장과 발달을 조절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공급부와 수용부 사이의 신호는 팽압과 같이 물리적이거나 화학적이다. 팽압의 변화와 같은 물리적 신호는 서로 연결된 체 요소를 통하여 빠르게 전달된다. 전통적으로 화학적 신호라고 간주되던 … Read more

광합성 산물의 분배와 전류

광합성률은 잎에서 사용이 가능한 고정탄소의 총량을 결정한다. 하지만 수송이 가능한 고정탄소의 양은 이후의 대사 적 사건에 달려 있다. 여러 대사경로로 고정탄소가 전환되는 것을 조절하는 일을 분배라고 한다.  식물의 유관속은 광합성 산물이 어린잎, 줄기, 뿌리, 열매 또는 종자 등 여러 수용부로 유동되는 것을 조절하는 배관계를 이룬다. 하지만, 유관속계는 흔히 서로 잘 연결되어 있으며, 공급부 잎이 다수의 … Read more

체관부 하적과 수용부에서 공급부로의 전이

공급부에서 당의 수출에 대해 살펴보았으므로 이제는 체관부 하적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자. 수용부 조직에서 일어나는 일이 공급부에서는 역의 방식으로 일어난다. 발달하는 뿌리, 괴경 그리고 생식 구조 등과 같은 수용부 기관으로의 수송을 수입이라고 한다. 당은 다음 단계에 따라 수용부 세포로 수입된다. 1. 체관부 하적. 수입된 당이 수용부 조직의 체요소를 떠나는 과정이다. 2. 단거리 수송. 당은 체요소 하적 … Read more

식물생리학 – 체관부 적재

엽육세포의 엽록체에서 성숙한 잎의 체요소로 광합성 산물이 이동하는 데 가지의 수송 단계가 관련된다. 1. 낮 동안 광합성에 의해 형성된 3탄당 인산은 엽록체에서 세포질로 수송되며, 이곳에서 설탕으로 바뀐다. 저장 녹말의 탄소는 밤 동안에 포도당의 형태로 엽록체를 빠져나와 설탕으로 전환된다. (일부 식물은 이후에 설탕으로부터 다른 수송당을 합성한다) 2. 설탕은 엽육세포에서 잎의 가장 작은 엽맥의 체요소 부근으로 이동한다. … Read more

체관부에서 수송되는 물질들

물은 체관부에서 수송되는 가장 풍부한 물질이다. 탄수화물, 아미노산, 단백질, 호르몬 그리고 무기이온으로 이루어진 수송 물질은 물에 녹아 있다. 설탕은 체요소에서 가장 흔하게 수송되는 당이다. 체요소 수액에는 언제나 설탕이 존재하며 그 농도는 0.3~0.9M가량이다.  질소는 체관부에서 주로 아미노산과 아미드의 형태로, 특히 글루탐산과 아스파르트산 그리고 이들의 아미드인 글루타민과 아스파라긴의 형태로 존재한다. 동일한 종에서도 아미노산과 유기산의 수준은 크게 다르며, … Read more

식물 체관부 수송

육상식물이 육지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난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그중 가장 심각한 것이 물을 획득하고 보존하는 일이다. 이런 환경적 요인으로 식물은 뿌리와 잎을 갖도록 진화했다. 뿌리는 식물을 고착시키며 물과 영양소를 흡수한다. 잎은 빛을 흡수하고 기체를 교환한다. 식물이 커짐에 따라 뿌리와 잎은 서로 공간적으로 더욱 분리되었다. 따라서 줄기와 뿌리가 흡수와 동화의 산물을 효율적으로 교환하도록 하는 … Read more

이산화탄소에 따른 광합성 반응

CO2 농도가 광합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CO2는 대기에서 잎으로 확산하여 우선 기공을 거친 후, 세포 내부의 통기간극으로, 그리고 궁극적으로 세포와 엽록체로 들어온다. 적절한 양의 빛이 존재할 때 CO2 농도가 높아지면 광합성률도 높아진다. 역으로 CO2 농도가 낮으면 광합성이 제한된다.   1. 대기 중 CO2 농도는 계속 증가한다   이산화탄소는 현재 대기의 0.038% 또는 380ppm을 … Read more

온도에 대한 식물의 반응

광합성과 증산은 공통적인 경로를 갖는다. 즉, 공변세포에 의해 조절되는 기공 열람을 통해 CO2는 잎으로 확산해서 들어오고 H2O는 확산해서 나간다. 이들은 독립적인 과정이지만 다량의 물이 광합성 기간 동안에 소실되고 CO2 흡수에 대한 H2O 소실의 비율은 250~500에 달한다. 이 높은 수분 소실률은 또한 잎에서 열을 제거해 주며 햇빛을 전부 받아도 상대적으로 시원하게 유지시켜준다. 광합성은 온도 의존적인 과정이기 … Read more